-
redis maxmemory 값 설정에 대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데이터베이스/redis 2024. 1. 16. 15:32
1. 시스템 메모리 크기:
Redis가 실행되는 서버의 총 시스템 메모리 양을 고려해야 합니다.
maxmemory 값은 서버의 총 메모리보다 적어야 합니다.
일반적으로 Redis는 서버의 메모리를 완전히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분의 메모리를 유지하면서 동작합니다.
free -h 또는 cat /proc/meminfo
시스템의 전체 메모리 크기, 사용 중인 메모리, 가용한 메모리 등을 보여줍니다.2. 다른 프로세스 및 운영체제 사용:
Redis 서버가 실행되는 서버에서 다른 중요한 프로세스나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메모리를 고려해야 합니다.
서버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maxmemory 값을 낮춰야 할 수 있습니다.
top 또는 htop
3. 데이터 크기와 쓰기 패턴:
Redis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와 쓰기 패턴을 고려해야 합니다.
데이터가 크고 쓰기 패턴이 빈번하다면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할 것이며,
그에 따라 maxmemory 값을 높여야 할 수 있습니다.
4. LRU 정책을 고려한 메모리 크기:
maxmemory 값을 정할 때는 LRU(Least Recently Used) 정책을 고려해야 합니다.
Redis는 이 정책에 따라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삭제하게 됩니다.
데이터의 TTL(생존 기간) 및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메모리 크기를 설정해야 합니다.
5. 예상되는 데이터 성장:
데이터의 크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,
maxmemory 값을 크게 설정하여 미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.
Redis에서 현재 메모리 사용량, 키 수, 데이터베이스 크기 및 기타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.
1. 현재 메모리 사용량 확인:
redis-cli info memory 또는 redis-cli info | grep used_memory
현재 Redis 인스턴스가 사용 중인 메모리 양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2. 키 수 확인:
redis-cli info | grep keyspace_hits
이 명령은 키의 캐시 히트 수를 보여줍니다.
키의 캐시 히트는 메모리에서 직접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보다 빠르게 캐시에서 데이터를 찾은 횟수를 의미합니다.
3. 데이터베이스 크기 확인:
redis-cli info | grep db0
이 명령은 데이터베이스 0의 크기 및 통계 정보를 보여줍니다.
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있다면 db1, db2, 등으로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Redis 서버 상태 확인:
redis-cli ping
이 명령은 Redis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.
"PONG"이라는 응답을 받으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 것입니다.
5. 메모리 통계 확인:
redis-cli --stat
Redis 서버의 메모리 사용 통계를 실시간으로 출력합니다.
6. 모든 키 확인:
redis-cli keys "*"
이 명령은 현재 Redis 서버에 저장된 모든 키를 나열합니다.
다만, 이 명령은 모든 키를 가져오므로 데이터베이스 크기가 큰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.
'데이터베이스 > red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dis 설정 파일 확인 및 편집 (0) 2024.01.16 ubuntu 에서 redis 설치 (0) 2024.01.16 Redis 설치 후, vm.overcommit_memory = 1; (0) 2023.09.20